● KB증권, 시스템반도체 기업 ‘뉴라텍’ 코스닥 상장 주관
KB증권, 시스템반도체 기업 ‘뉴라텍’ 코스닥 상장 주관
KB증권이 시스템반도체 기업 뉴라텍의 코스닥 상장을 위한 대표 주관사로 선정됐다.2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뉴라텍은 최근 KB증권과 코스닥 상장을 위한 대표 주관 계약을 체결하고 예비 실사를 진행 중이다. 뉴라텍은 성장성 추천 특례 상장 제도를 통해 오는 2021년 코스닥에 상장한다는 계획이다.뉴라텍은 사물인터넷(IoT)용 와이파이 칩셋을 설계, 제조하.
www.kukinews.com
미래가 기대되는 시스템반도체 벤처. 뉴라텍은 사물인터넷(IoT)용 와이파이 칩셋을 설계, 제조하는 시스템반도체 기업으로 삼성전자 외에 유일하게 핵심 기술 및 제품을 보유하고 있는 벤처 기업이다.
- 특히, 뉴라텍은 급부상 중인 IoT 서비스에 최적화된 국제표준 IEEE 802.11ah 규격의 장거리·고용량의 와이파이 칩셋을 브로드컴(Broadcom), 퀄컴(Qualcomm), 미디어텍(MediaTek) 등 글로벌 대형 기업들을 제치고 세계 최초로 개발 및 출시해 화제를 모았다.
-현재 해당 제품은 전 세계 100여 곳으로부터 높은 관심과 수요를 불러일으키고 있으며, 내년 초부터 본격적인 매출이 창출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상장여부 관건은 성장성. 성장성 특례 상장은 2017년 최초 도입되어 상장 주관사가 자체적으로 상장 예비 기업의 사업성을 구체적으로 평가해 성장성이 인정되는 기업에 한해 한국거래소가 상장을 인정하는 제도다.
★수년 째 영업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기업이므로, 상장하기 위해서는 미래의 수익을 투자자들에게 인정받을 수 있어야 한다. 즉, 빠른 시일 내 제품을 상용화하거나 기술 사업을 통해 매출을 발생 시킬 수 있어야 한다.
블로거 코멘트
5G가 화두인 요즘 장거리 WI-Fi 는 어색하게 느껴진다. 뉴라텍은 수년 째 영업 적자를 기록하는 기업으로 소위 말해 언제 '터질지'가 관건인 회사이다. 즉, 어떤 새로운 기술과 제품이 나와서 장거리 Wi-Fi에 대한 수요가 급진적으로 증가해야만 기업으로서 제 구실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연구기관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구성원들이 창업한 만큼, 기술력 만큼은 인정해줘야 한다. 실제로 해외에서도 기술력을 인정받아 초대형 기업인 퀄컴과 함께 거론되는 모습은 인상적이다.
그러나, 사업성은 어떻게 증명할 수 있을까? IoT가 화제거리가 된지는 수년이 지났지만, 아직까지 이렇다할 IoT 제품 및 서비스가 없는 실정이다. 뉴라텍의 홈페이지에서는 Smart Grid,Security,Home, City,Industry, Health Care을 Application(사용처)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중 어느 곳도 1km 이상에 달하는 장거리 와이파이 기술이 급한 곳은 없어보인다. 장거리 와이파이 기술을 어떻게 상용화시킬 수 있을지 증명하는 것이 KB증권의 가장 큰 숙제일 것이다.
뉴라텍 공식 홈페이지(뉴라텍의 미국 자회사인 뉴라컴)
뉴라텍 관련 과거 기사
(헬로디디, 191113)
뉴라텍의 IoT용 장거리 와이파이 제품(제품명: NRC7292)은 IoT 서비스에 최적화된 장거리, 고용량, 저전력에 초점을 맞춘 제품이다.1km 이상의 장거리 커버리지, 저전력 기능과 함께 높은 데이터전송률을 제공해 스마트홈, 스마트오피스, 스마트헬스케어 등 IoT 시장에서 급증하는 데이터 트래픽에 대응할 수 있다.
ETRI 연구팀이 창업한 뉴라텍, 7개월 만에 150억원 투자 유치
(한국경제, 1409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소속 연구원들이 공동 창업한 뉴라텍이 국내 투자기업인 밸류인베스트코리아로부터 150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17일 발표했다.뉴라텍은 무선LAN접속제어연구실장을 지낸 이석규 실장을 비롯해 연구원 28명이 함께 설립한 회사다.창업을 주도한 이 실장은 2007년 세계 최초로 3.6기가비트(Gbps) 4세대 무선전송시스템인 ‘놀라(NoLA)’를 개발하는 등 이동통신과 무선랜 분야 기술 개발을 주도했다.
'IT Business News & Knowledge > 반도체 소식 (국내 & 해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도체 제조 공정별 특성과 주요 기업 (0) | 2019.11.28 |
---|---|
'19년 11월 27일 반도체 뉴스 정리 - 운전자본, 삼성전자의 D램 판매 부진의 증거인가 (0) | 2019.11.27 |
'19년 11월 25일 국내 반도체 아침뉴스 - 반도체 부품 자체 수급을 위한 노력 (0) | 2019.11.25 |
해외 반도체 소식과 뉴스를 위해 참고할 채널 (0) | 2019.11.24 |
세미콘 코리아에서 정의한 반도체의 사용처와 (application) 사업군 (0) | 2019.11.24 |